-
목차
목차
- 아이의 자존감, 왜 중요한가요?
- 무조건적인 칭찬보다 ‘구체적인 인정’이 효과적이에요
- 아이의 감정과 선택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큰 칭찬이에요
- 비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세요
- 아이가 자신을 사랑하도록 돕는 ‘일상 속 칭찬 루틴’
1. 아이의 자존감, 왜 중요한가요?
아이의 자존감은 자아 정체성과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새로운 도전에 주저하지 않고, 실패했을 때에도 스스로를 믿고 다시 시도하는 힘이 있습니다. 반면,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실수나 실패를 지나치게 두려워하거나, 타인의 시선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됩니다.
특히 유아기와 아동기는 자존감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부모로부터 어떤 메시지를 받느냐에 따라 아이의 내면에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가 자리 잡기도 하고, 반대로 불안하고 위축된 자아상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부모의 말투와 태도가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죠.
2. 무조건적인 칭찬보다 ‘구체적인 인정’이 효과적이에요
“너는 정말 똑똑하구나!” “천재 아니야?” 이런 말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자주 반복되면 아이는 ‘결과’에만 집착하거나 ‘칭찬받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는 진정한 자존감이 아니라 외적 보상 중심의 자존감으로 이어질 수 있죠. 중요한 건 행동이나 노력의 구체적인 부분을 인정하는 칭찬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그림을 열심히 그렸다면 “우와~ 예쁘다!” 대신 “색깔을 다양하게 써서 그림이 더 재미있어 보여! 열심히 그렸구나~”라고 말해보세요. 이런 말은 아이에게 노력의 가치를 느끼게 해 주고, ‘나는 가치 있는 존재야’라는 인식을 만들어줍니다.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의 칭찬이 자존감을 튼튼하게 세워주는 핵심입니다.
3. 아이의 감정과 선택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큰 칭찬이에요
칭찬은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존중하는 태도 자체가 아이에게는 큰 인정으로 다가갑니다. 아이가 슬퍼하거나 화났을 때 “그런 감정 가지면 안 돼”라고 말하기보다 “속상했구나, 그럴 수도 있지”라고 공감해 주는 것이 자존감을 높여줍니다. 이는 아이의 감정을 ‘존재 그 자체로 수용’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어떤 색으로 칠하고 싶어?”, “오늘은 어떤 옷을 입고 싶어?”라는 질문은 사소하지만, 아이에게 ‘나는 내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라는 강한 내면의 힘을 심어줍니다. 선택권을 주는 부모의 태도는 아이의 자율성과 자존감을 동시에 키워줍니다.
4. 비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세요
부모가 의도치 않게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는 형제, 친구와의 비교입니다. “○○는 벌써 글도 읽는데 넌 아직도…”, “누나는 말 잘 듣는데 왜 넌…” 같은 말은 아이의 자존감을 갉아먹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비교는 아이에게 ‘나는 부족하다’, ‘나는 인정받을 수 없는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심어줍니다.
대신, 아이 고유의 속도와 성향을 인정하는 말을 해보세요. “너만의 방식이 있어, 그게 멋져”, “천천히 해도 괜찮아, 엄마는 너를 믿어” 같은 말은 아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자존감이란 결국 ‘있는 그대로의 나’를 긍정하고 수용하는 힘이기 때문에, 부모가 먼저 아이를 있는 그대로 봐주는 것이 가장 큰 출발점이 됩니다.
5. 아이가 자신을 사랑하도록 돕는 ‘일상 속 칭찬 루틴’
지속적인 칭찬과 존중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라, 매일의 일상 속에서 습관처럼 스며들어야 합니다. 하루에 단 한 마디라도 아이를 격려하는 말, 웃으며 눈을 맞추고 이름을 불러주는 행동은 아이의 자존감을 건강하게 자라게 하는 영양제입니다.
하루를 마무리하며 “오늘 엄마는 네가 동생에게 양보해 줘서 고마웠어”라고 말해보세요. 아침에 “오늘도 너를 응원할게!”라고 시작해도 좋아요. 이런 일상 속 칭찬 루틴은 아이에게 ‘나는 사랑받는 존재야’라는 깊은 확신을 심어주며, 자존감이 뿌리내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존감은 아이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입니다. 칭찬은 그 선물을 감싸는 따뜻한 포장지이자, 매일매일 전하는 사랑의 표현입니다.
'아동발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감정을 표현하게 도와주는 대화법 아동 감정 표현|아이와의 대화|부모 교육|정서 발달|감정 코칭 (0) 2025.04.10 아이의 문제 행동, 원인을 이해하고 돕는 방법 --아동 발달학 관점에서 바라보는 문제 행동의 진짜 이유와 부모의 대응 전략 (0) 2025.04.07 아이의 실패 경험 다루기 – 회복 탄력성과 정서 지지의 시작 (0) 2025.04.05 아이의 상상력 자극하기 – 창의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환경 (0) 2025.04.05 유아기 놀이 행동의 의미 – 우리 아이가 보내는 발달 신호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