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목차
- 언어 발달이 중요한 이유
- 아이와 대화할 때 부모가 주의해야 할 점
- 언어 발달을 돕는 구체적인 대화 기술
-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확장시키는 방법
- 말이 늦은 아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1. 언어 발달이 중요한 이유
아이의 언어 능력은 단순한 말하기를 넘어 사고력, 사회성, 감정 표현까지 깊이 연관돼 있어요.
특히 0~6세까지는 두뇌 언어중추가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자극과 대화가 아이의 전반적인 인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요.이 시기에 부모가 적절한 대화 자극을 주지 않으면 말이 늦어질 뿐 아니라, 자존감과 사회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따라서 "아직 어린데 괜찮겠지"라는 생각보다는, 매일의 일상 속에서 적극적으로 언어적 상호작용을 시도해 보는 것이 중요하죠.
2. 아이와 대화할 때 부모가 주의해야 할 점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 부모는 종종 지시하거나 정답을 알려주는 대화를 하게 돼요.
예를 들어,
“그건 빨간색이지?”
“이건 사과야. 말해봐, 사과.”이런 대화는 아이의 표현을 끌어내기보다는 정답을 말하게 하는 퀴즈식 대화가 될 수 있어요.
아이와 대화할 때는 정답을 유도하는 대신,
- “이건 무슨 색 같아?”
- “이 과일은 어떤 맛이 날까?”
처럼 탐색형 질문을 던져보세요.
그리고 아이가 말할 때 중간에 끼어들거나 말을 대신해주는 것도 피해야 해요. 천천히 기다려주는 여유가 아이의 말하기 의지를 키우는 첫걸음이에요.
3. 언어 발달을 돕는 구체적인 대화 기술
부모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대화 기술 몇 가지를 소개할게요:
✅ ‘따라 말하기’ 대신 ‘확장하기’
아이가 “물”이라고 말하면,
➡ “물 마시고 싶구나? 시원한 물이네.”
처럼 아이의 말을 자연스럽게 확장시켜주세요.✅ 반복과 강조
중요한 단어는 반복해서 사용해 주세요.
➡ “이건 기차야. 기차가 칙칙폭폭 소리를 내네~ 기차가 달려간다~”✅ 묘사와 설명
일상 상황을 설명하는 습관을 들이면 아이는 많은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 “엄마는 지금 노란 수세미로 접시를 닦고 있어. 물이 똑똑 떨어지네.”이런 표현들은 아이가 풍부한 어휘를 습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에요.
4.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확장시키는 방법
언어는 책상 앞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경험을 통해 체득되는 것이에요.
다음과 같은 활동을 일상 속에 넣어보세요:- 함께 책 읽기: 읽고 난 후 “이야기에서 어떤 장면이 제일 좋았어?” 질문하기
- 역할 놀이: 병원놀이, 시장놀이 등은 대화량을 크게 늘려줘요
- 산책 중 묘사하기: “이 꽃은 향이 어떨까?”, “바람이 솔솔 부네” 등 감각적 표현 사용
- 요리 놀이: 요리 과정을 설명하며 단어 확장 가능
이처럼 아이는 부모의 언어를 따라 배우며, 자신의 언어를 서서히 만들어가요.
5. 말이 늦은 아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만 2세가 넘었는데도 말을 거의 하지 않는다면 조기 개입이 필요할 수 있어요.
하지만 조급해하지 말고, 먼저 환경을 점검해 보세요:- TV나 스마트폰 시청 시간이 많은가요?
- 아이의 말을 기다려주는 시간이 충분한가요?
- 혼잣말이라도 자주 들려주고 있나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비교하지 않는 태도예요.
“친구는 벌써 문장을 말하던데…” 같은 비교는 아이의 언어욕구를 꺾을 수 있어요.필요하다면 언어치료 전문가와의 상담도 좋은 방법이지만, 일단은 부모의 따뜻한 대화가 최고의 치료이자 자극이에요.
✨ 마무리하며
아이의 언어는 그 아이만의 속도로 피어나는 꽃이에요.
부모가 그 꽃을 조급히 피우려 하기보다는, 따뜻한 말과 관심으로 기다려주는 것이 아이의 언어를 가장 아름답게 자라게 해 줄 거예요.'아동발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친구 관계, 부모는 어떻게 도와야 할까? (또래 관계 | 아이 친구 문제 | 사회성 발달 | 아동 심리 | 부모 역할) (0) 2025.04.24 스마트폰과 TV 시청, 아이의 뇌 발달에 어떤 영향을 줄까?(미디어 노출 | 아동 뇌 발달 | 스마트폰 중독 | 아동학 블로그) (0) 2025.04.23 아이의 집중력,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 – 산만한 아이에서 몰입하는 아이로 바꾸는 부모의 실천법 (0) 2025.04.22 아이의 스트레스, 어떻게 도와줄까? – 마음속 짐을 내려놓게 해주는 부모의 역할 (0) 2025.04.19 아이의 정서 조절 능력, 어떻게 길러줄까? (0) 2025.04.18